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계적 가치의 여부가 있다. 세계적 가치를 충족하려면 다음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 변화의 시기를 반영하는 시간성 (Time) : 역사적 중요시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거나 그 시기를 특별한 방법으로 반영하는 자료
- 역사발전에 기여한 장소나 지역관련 정보 (Plac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닌 자료
- 역사에 기여한 개인의 업적 (Peopl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에 기여한 인물에 관련된 자료
- 세계사의 주요 주제 (Subject/Them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의 주요사항을 기록한 자료
- 형태나 스타일에 있어 표본 (Form and Style) : 뛰어난 미적 양식을 보여주는 자료
-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중요성 (Social/Spiritual/Community Significance) : 뛰어난 사회적·문화적 또는 정신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
(해례본)
훈민정음
세계 언어 역사상 '창제 의도와 창제자가 명확히 드러나고 현재까지 사용자수가 5000만명 이상되는 ' 언어는
한글이 유일하다고 합니다.
세종대왕님, 솅종엉젱 훈민정흠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__)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프랑스 국립 도서관 소장)
금속활자로 인쇄된 책중에 최고(最古)의 것입니다.
승정원 일기
승정원 일기는 많은 기록이 소실되어 280여년 분량밖에 남지 않았지만
조선왕조실록 전체 활자수보다 많은! 글이 담겨 있습니다. 1차 사료나 다름이 없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조선왕조의궤
의궤(儀軌)는 조선 왕실에서 국가의 주요 행사가 있을 때 훗날 참고하기 위해 남기는 기록문서를 가리킨다. 조선 왕실에서 주관하는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임시 기구인 도감(都監)을 두어 이를 주관하게 했는데, 행사를 마치면 도감을 해체하고 의궤청(儀軌廳)을 설치하여 의궤의 편찬을 맡아보게 하였다. 2007년 6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팔만대장경
8만판에 이르는 경판의 5200만여 글자 중에서 오탈자는 단 158자 밖에 없습니다.
비율로 따지면 0.0003% !!
세종대왕때, 일본에서 유교국가인 조선에 이런게 필요없으니 달라고 한적도 있으나
거절했답니다.
그외 일제시대의 반출을 죽을각오로 막은 승려, 6.25 폭격 명령을 거부한 김영환 장군, 여러번 화재에 소실 위험이 있었는데
다행히 대장경은 안전. 이쯤이면 부처님의 보우하사 수준.
참고로, 팔만대장경은 물론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해인사 역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어있습니다.
동의보감
한의학 동의보감의 등재에는 재밌는 사연이 있는데요
자신들의 중의학의 자부심을 뽐내고 싶어하던 중국에서 중의학 서적을 등재시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러나! 문화대혁명으로 고서들 대부분 없어져 버리고 후대에 기록된 것이나 짜집기 본밖에 남지 않았죠.
그에 유네스코에서
"이왕이면 아예 오리지널을 등록시켜야겠네?"
라고 해서 허준의 동의보감이 등재되었답니다. ㅋㅋ 노력은 중국이 다하고 한국은 받아먹음.
일성록
일성록은 조선 영조 36년 되던 해인 1760년 1월부터 1910년 8월까지의 기록입니다. 조정과 내외 신하에 관련된 일기 형식의 글이며 임금 입장에서 적은 것으로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정부의 공식 기록이라고 합니다. 현재 2300여권의 책이 전해지고 있으나 21개월 가량의 분량이 빠져 있다고 합니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록물
특정한 도서가 아닌 그 당시의 기록을 담은 기록물들이 등재 대상이 됩니다.
민주화를 위해 피흘린 광주 시민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아시아>
1. 한국: 7개
2. 중국,조선 :6개
3. 인도, 말레이시아,태국: 3개
4. 이란,필리핀,우즈벡,레바논 : 2개
5. 사우디,파키스탄,일본:1개
<유럽>
오스트리아: 9개
독일: 8개
러시아: 7개
폴란드: 6개
프랑스: 5개
덴마크 : 4개
헝가리,노르웨이,포르투갈,스웨덴,터키: 3개
영국,네덜란드 : 2개
출처 : ruliweb.daum.net
'[ Hobby ]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요토미 히데요시 책. (2) | 2015.08.06 |
---|---|
수호지와 초한지. (0) | 2015.08.06 |
먼나라 이웃나라 세트 (0) | 2013.07.27 |
[리뷰] 뉴턴 양자론 (0) | 2010.02.24 |
[리뷰] 사랑한다 내꿈아 - 축구해설가 박문성 (1) | 2010.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