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는 나의 힘!
[ Game ]/대전액션2022. 10. 23. 21:27

전신보는 횡으로 한바퀴 빙글 도는 기술. 
독립적으로 전신보 쓰는 일은 거의 없다.
단독으로 사용하는것 보다 주로 질보 1타 이후 제일 많이 보는 특수 이동기다.

질보 1타 이후 빙글 도는 그 기술인데 철권 5 이전 까지만 해도 독립 기술 이었다.
파생기로 활용성이 강화 되더니 원투~전신보참추 1타~전신보, 질보 1타~전신보 여러 가지로 늘어난 상황.
덕분에 전신보 파생기나 캔슬 이후 심리전이 자주 발생한다.

전신보 독립 사용은 16프레임 발동인데 파생으로 사용하면 프레임 계산이 달라진다.

원투 펀치 ~ 전신보 (LP RP ~(LK or RK)) 
가드 이후 ~전신보 파생은 1프레임 유리.
가드 이후 ~전신보 캔슬은 9프레임 불리.
히트 이후 ~전신보 파생은 7프레임 유리.
히트 이후 ~전신보 캔슬은 3프레임 불리.

질보 장권 (질보 연주 1타) ~ 전신보 (↓↘ LP ~(LK or RK)) 
가드 이후 ~전신보 파생은 2프레임 유리.
가드 이후 ~전신보 캔슬은 8프레임 불리.
히트 이후 ~전신보 파생은 8프레임 유리.
히트 이후 ~전신보 캔슬은 2프레임 불리.

참추 1타 ~ 전신보 (기상시 RP ~(LK or RK)) 
가드 이후 ~전신보 파생은 2프레임 유리.
가드 이후 ~전신보 캔슬은 8프레임 불리.
히트 이후 ~전신보 파생은 10프레임 유리.
히트 이후 ~전신보 캔슬은 우선권 동등.

여기서 질보장권~전신보(↓↘ LP~(LK or RK)) 파생이 필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대체적으로 가드 이후 캔슬 8프레임 불리, 파생 2프레임 유리한 상태에서 시작되는게 다반사다.
그 중 전신보 - 소타(LP)로 파생이 간간이 나오는 편이다.

소타 단독 기술은 발동 15프레임에 히트 시 데미지도 약하지만 
카운터 히트 시 그로기 확정이라 함부로 덤비지 못한다.
특히 질보장권~전신보-소타로 사용 시 최대 늦은 발동으로 계산하면 15 - 2 = 13프레임으로 
결코 늦지 않는 발동이다. 

전신보-소타 가드 이후는 근접 상황에 우선권 동등하다.
철저한 심리전이 돌입되는데 상대가 어떻게 반응하냐에 따라 게임 진행이 달라진다.
소타 가드 이후 이어지는 돌고도는 심리전에 조금 이나마 흐름을 이해 시키기 위해 글을 작성해 본다.




*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심리전
전신보(AK)-소타(LP) 가드 이후 줄리아는 0프레임 손해로 우선권 동등.
그리고 근접 상태라 완벽한 심리전으로 파생된다. 
심리전이 강점인 줄리아는 오히려 이런 상황을 즐기는게 좋다.

상대는 2가지 중 하나의 반응을 한다. 반항하거나, 방어하거나.
상대가 반항하는지 방어하는지 파악 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소타 이후 철저한 심리전이다.
은근 이상황이 자주 나오니 자기만의 심리전을 만드는것도 좋은 편이다.

1) 반항하는 상대는 대략 3가지 중 하나다.
    빠른 상단 10프레임 원투 펀치로 우선권을 가져 갈려고 하거나,
    빠른 중단 13프레임 왼어퍼로 견제를 하거나, 
    11프레임 앉아 짠손으로 줄리아의 모든 공격을 끊어 버릴려고 기회를 노리거나.

    상대가 원투 펀치로 대응시 상단 회피가 있는 비장권이나 반시계 횡이동을 사용해 주자.
    비장권(↓↘→ RP)은 상단과 횡이동 약점만 빼면 상단 회피에 가드시 8프레임 불리로 딜레이 케치는 없는 편이다.
    비장권 히트시 공중 콤보 확정으로 맞아보니 아프더라가 각인되어 감히 원투를 못 내민다. 
    반시계 횡이동으로 원투펀치를 회피했다면 쌍기각(↗ RK LK)이나 대전봉추(↘ RP LP)로 응징하자.

    대표적 빠른 중단인 왼어퍼로 대응한다면 신각을 사용해 주자.
    기본 오른킥인 신각(RK)은 발동 11프레임으로 원투 펀치와 앉은 자세 공격 제외하고 모든 공격을 끊는다.
    카운터 히트시 호신주( LP)나 질보 장권~전신보(↓↘ LP ~ (LK or RK))으로 건질 수 있어 공중콤보는 덤.

    앉아 짠손으로 대응하는 상대는 타이밍 맞춰 흘려 버리자.
    상대가 소극적인 심리 상태라는 의미로 위축되었다는 걸 볼수 있으며 어차피 아프지도 않다.
    자주 쓰는 상대라면 흘려 버리고(타이밍 맞춰 ↘) 공중 콤보로 이어 주자. 
    앉아 짠손(↓ LP)이 만능은 아니라는걸 보여주면 된다. 

# 상대 원투 펀치 

전신보 (AK)- 소타(LP) 가드 이후 우선권은 동등하다.
상대가 원투 펀치로 반항 시 상단 회피가 있는 비장권(↓↘→ RP)으로 대응해 주자.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반시계 횡이동(↓ N)도 좋다.
상대 원투 펀치 회피 후 대전봉추(↘ RP LP)나 쌍기각(↗ RK LK)으로 딜레이 캐치 해 주자.

# 상대 왼어퍼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반시계 횡이동이나 비장권은 왼어퍼에게 차단 된다.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우선권이 동등하다는 걸 기억 하자.
신각(RK)은 발동 11프레임이다. 발동 10프레임인 원투 펀치를 제외하고 대부분 이긴다는 이야기.
카운터 히트 시 호신주(→→ LP)로 캐치 후 공중 콤보로 연결해 주자.

# 상대 앉아 왼펀치 

비장권이나 신각의 단점은 상단이라는 부분이다.

앉아 짠손으로 반응 하는 상대는 흘리기(타이밍 맞춰 ↘)로 대응해 주자.




2) 방어하는 상대는 대략 2가지 중 하나다.
    횡이동이나 백대쉬로 기회 보거나
    얌전히 가드 하거나,

    횡이동이나 백대쉬로 기회를 보는 상대라면 우선권을 계속 쥐고 흔들어 주자.
    어차피 기회만 안 주면 되니 견제기가 좋은 줄리아에겐 무빙으로 계속 움직여 주면서 
    다시 툭 치고 빠지고 툭 치고 빠지며 이득만 챙겨 먹으며 히트 앤 런.

    가드를 하는 상대라면 줄리아의 이지선다 심리전을 전개하자.
    근접 상태라 중단 하음장(↘ LP) 과 잡기 메드엑스(↓↙←→ RP)가 기본 베이스.
    하음장을 상대가 앉아 히트되면 14프레임 이하 후속타는 꼬박 꼬박 넣어주자.

    줄리아 내성이 있는 상대 중단은 막고 잡기는 양손 풀기라고 기본 장착되어 있으니 
    지촌퇴(↓ LK) 하단을 이지선다에 혼합하여 톡톡 때려주면서 심리 살살 긁어 주는 것도 매우 좋다. 
    몇번 계속 맞다 보면 흥분해서 반항하거나 흘릴려고 하는데 
    반항하면 위에 반항 대응법으로 대처하면 되고 흘릴려고 하면 하음장의 먹이가 된다.


# 상대가 기회를 노린다면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상대가 기회를 노리고 있다면 
횡이동, 횡이동~가드, 백대쉬를 하며 다시 질보장권, 호신주 견제기로 우선권 쥐고 흔들어 주자.
상대에게 기회를 주지 않고 압박만 주다 보면 결국 반항하게 된다.

# 상대 가드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상대가 위축 되었다면 
중단 하음장(↘ LP) 과 잡기 메드엑스(↓↙←→ RP) 이지선다 심리전으로 들어가자.
이지선다 심리전에 기본 잡기나 앉은 자세 심리전을 혼합해 주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 상대가 줄리아 내성이 있다면 

줄리아 내성이 있는 상대라면 멘탈을 긁어 주며 흥분 시켜 주는게 중요하다.
하단 지촌퇴(↓ LK)로 기회 될때마다 긁어 주며 짜증을 유발시켜 발악하게 만들어주자.
견기다 못해 반항 하는 순간 다시 반항 대응 패턴으로 응수하자. 돌고 도는 심리전이다.




3) 상대 반응을 보기 위해 횡이동이나 백대쉬 체크하는 것도 좋은 선택.
    기회를 보거나 상대의 반응을 좀더 체크 해야 한다거나 
    우선권만 챙기며 계속 압박해 가고 싶다면 횡이동으로 상대 반응을 지켜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전신보 - 소타 가드 이후 상대 반응은 반항하거나 방어하는 루틴이며 돌고 도는 심리전이다.  
철저한 가위바위보 싸움의 전개가 되는 편이니 호신주와 질보로 계속 찔러 보면서 
상대가 위축 되었는지 기회 보면서 반항 하는지 체크하는게 매우 중요하다.  

이지선다와 심리전을 주력으로 하는 케릭의 운명이자 핵심이다.
상대가 반항 하는지 위축 되었는지를 체크 하여 상황에 맞는 운영을 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Posted by Mister_Q
[ Programing ]/Redis2022. 10. 20. 19:18

# Redis Cluster 설정

클러스터는 최소 3개 이상의 노드가 필요.
Master - Slave 수량 맞춰 서버별 Redis-server 구동.




Redis Server 프로세스 구동 정보 확인
     $ ps -ef | grep redis

클라이언트 접속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클러스터 노드 그룹으로 묶기 - 다른 노드(Port) 추가.
     [IP]:[Port]> cluster meet [추가할 노드 IP] [추가할 노드 Port] 

클러스터 노드 Master - Slave 설정.
     [IP]:[Port]> cluster nodes      (클러스터 노드 정보 확인. node_id 체크)
     [IP]:[Port]> quit
     /redis-0.0.0/src] $ ./redis-cli -h [Slave 설정할 IP] -p [Slave 설정할 Port] cluster replicate [Master 설정할 node_id]

클러스터 슬롯 정보 확인. (마스터 - 슬라이브 체크)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IP]:[Port]> cluster nodes

클러스터 슬롯 설정. (Cluster Slot Max : 16384)
: 서버 분산 저장 시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분류하여 저장. Master-Slaver 그룹 만큼 분류하여 설정.
EX) Master-Slaver 3개라면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cluster addslots {0..5461}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cluster addslots {5462..10922}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cluster addslots {10923..16383}

클라이언트 접속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클러스터 슬롯 정보 확인
     [IP]:[Port]> cluster slots

클러스터 상태 정보 확인 (cluster_state:ok 되었는지 체크. fail 이면 슬롯 분배 실패)
     [IP]:[Port]> cluster info


'[ Programing ] > Re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레퍼런스.  (0) 2024.05.21
[Redis] Reference  (0) 2023.03.02
[Linux] Redis wget 설치  (0) 2022.10.20
Redis 명령어  (0) 2021.04.21
Posted by Mister_Q
[ Programing ]/Redis2022. 10. 20. 18:18

# Redis wget 으로 받아 설치.

Redis 다운로드 (0.0.0 -> 원하는 버전으로)
     $ wget https://download.redis.io/releases/redis-0.0.0.tar.gz

압축 해제 
     $ tar xzvf redis-0.0.0.tar.gz

의존성 패키지 설치
     $ cd ./redis-0.0.0/deps
     /redis-0.0.0/deps] $ make hiredis jemalloc linenoise lua

Redis 설치
     /redis-0.0.0/deps] $ cd ../
     /redis-0.0.0] $ make

※ jemalloc 오류 시
     $ yum install jemalloc

※ make[1]: cc: Command not found 라는 메시지와 함께 에러가 난다면 gcc의 설치를 먼저 진행
     $ yum install gcc

※ systemd-devel (redis 테스트)
     $ yum install systemd-devel


# 자동 설정으로 작성 시
     /redis-0.0.0] $ cd ./utils
     /redis-0.0.0/utils] $ install_server.sh

------------------
Please select the redis port for this instance : [6379]      - 포트 설정.
Please select the redis config file name [/etc/redis/.6379.conf]      - Config 파일 이름 설정.
Please select the redis log file name [/var/log/redis_6379.log]      - Log 파일 이름 설정.
Please select the redis data directory for this instance [/var/lib/redis/6379]      - 데이터 폴더 이름 설정.
Please select the redis execute path []      - Redis 서버 파일 경로 작성
-------------------



# 수동 설정으로 작성 시
     $ cd /etc/redis

디렉토리 없다면 생성
     /etc] $ sudo mkdir redis

config 항목 수정
     /etc/redis] $ vi. [포트].conf

------------------
bind     0.0.0.0    (127.0.0.1 -> 0.0.0.0 로컬 호스트에서 모든 호스트로 접속 가능하도록)
protected-mode     yes
port     [포트]
tcp-backlog     511
timeout     0
tcp-keepalive     300
daemonize     yes     (데몬 실행 사용)
supervised     no
pidfile     /var/run/redis_[포트].pid
loglevel     notice
logfile     /var/log/redis_[포트].log
databases     16
always-show-logo     yes
save     900 1
save     300 10
save     60 10000
stop-writes-on-bgsave-error     yes
rdbcompression     yes
rdbchecksum     yes
dbfilename     dump.rdb
dir     /var/lib/redis/[포트]
slave-serve-stale-data     yes
slave-read-only     yes
repl-diskless-syno     no
repl-diskless-sync-delay     5
repl-disable-tcp-nodelay     no
slave-priority     100
lazyfree-lazy-eviction     no
lazyfree-lazy-expire     no
lazyfree-lazy-server-del     no
slave-lazy-flush     no
appendonly     yes     (append-only file 데이터 저장 유무)
sppendfilename     "appendonly.aof"
appendfsync     everysec
no-appendfsync-on-rewrite     no
auto-aof-rewrite-percentage     100
auto-aof-rewrite-min-size     64mb
aof-load-truncated     yes
aof-use-rdb-preamble     no
lua-time-limit     5000
cluster-enabled     yes
cluster-config-file     nodes-[포트].conf
cluster-node-timeout     3000
cluster-require-full-coverage     yes
slowlog-log-slower-then     10000
slowlog-max-len     128
latency-monitor-threshold     0
notify-keyspace-events     ""
hash-max-ziplist-entries     512
hash-max-ziplist-value     64
last-max-ziplist-size     -2
list-compress-depth     0
set-max-intset-entries     512
zset-max-ziplist-entries     512
zset-max-ziplist-value     64
hll-sparse-max-bytes     3000
activerehashing     yes
client-output-buffer-limit     normal 0 0 0
client-output-buffer-limit     slave 256mb 64mb 60
client-output-buffer-limit     pubsub 32mb 8mb 60
hz     10
aof-rewrite-incremental-fsync     yes
------------------

권한 수정
     /etc/redis] $ sudo chkmod 644 [포트].conf

redis 서비스파일 설정
     /etc/redis] $ cd ../init.d
     /etc/init.d] $ vi redis_[포트]

------------------
CLIEXEC = /[Redis 서버 파일 경로]/redis-cli
PIDFILE = /var/run/redis_[포트].pid
CONF = "/etc/redis/[포트].conf"
REDISPORT = "[포트]"

EXEC = /[Redis 서버 파일 경로]/redis-server
CLIEXEC = /[Redis 서버 파일 경로]/redis-cli
PIDFILE = /var/run/redis_[포트].pid
CONF = "/etc/redis/[포트].conf"
REDISPORT = "[포트]"

case "$1" in
    start)
        if [ -f $PIDFILE ]
        then
            echo "$PIDFILE exists, process is already running or crashed"
        else
            echo "Starting Redis server..."
            $EXEC $CONF
        fi
        ;;
    stop)
        if [ ! -f $PIDFILE ]
        then
            echo "$PIDFILE does not exist, process is not running"
        else
            PID=$(cat $PIDFILE)
            echo "Stopping ..."
            $CLIEXEC -p $REDISPORT shutdown
            while [ -x /proc/${PID} ]
            do
                echo "Waiting for Redis to shutdown ..."
                sleep 1
            done
            echo "Redis stopped"
        fi
        ;;
    status)
        PID=$(cat $PIDFILE)
        if [ ! -x /proc/${PID} ]
        then
            echo 'Redis is not running'
        else
            echo "Redis is running ($PID)"
        fi
        ;;
    restart)
        $0 stop
        $0 start
        ;;
    *)
        echo "Please use start, stop, restart or status as first argument"
        ;;
esac
------------------

권한 수정
     /etc/init.d] $ sudo chkmod 755 redis_[포트]

덤프 & aof 저장 위치 설정.
     $ cd /var/lib/redis

사용할 포트 이름으로 된 디렉토리 없다면 생성.
     /var/lib/redis] $ mkdir [포트]



# redis 서버 실행

     $ cd [redis 설치 경로]/redis-0.0.0/src
     /redis-0.0.0/src] $ sudo ./redis-server -p [포트].conf (설정한 port 만큼 구동)

프로세스 구동 여부 확인
     $ ps -ef | grep redis

클라이언트 접속 (redis-cli -h [레디스 서버의 IP주소] -p [포트번호] -a [비밀번호])
     /redis-0.0.0/src] $ ./redis-cli -h [IP] -p [Port]

동작 테스트
     [IP]:[Port]> ping   ("PONG" 나오면 성공)
     [IP]:[Port]> set testKey testValue
     [IP]:[Port]> get testKey   ("testValue" 나오면 성공)


'[ Programing ] > Red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 레퍼런스.  (0) 2024.05.21
[Redis] Reference  (0) 2023.03.02
[Linux] Redis Cluster 설정  (0) 2022.10.20
Redis 명령어  (0) 2021.04.21
Posted by Mister_Q